우리의 노동이 보편이 될 때까지 -
한국여성노동자회
현장 분석부터 대안 제시까지, 연구 사업
한국여성노동자회는 현장에서 포착된 문제를 분석하고, 제도 개선 및 변화의 대안을 만들기 위해 연구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항상 현장과 함께하는 한국여성노동자회는 현장의 문제들을 정돈된 분석을 바탕으로 이론화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성평등 노동 담론을 형성하는 연구 사업들은, 한국여성노동자회가 현장의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업입니다. (지면 관계상 2000년 이후 주요 연구 보고서 목록을 소개합니다. '바로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해당 연구사업 결과물이 담겨있는 자료실로 이동합니다.)
01. 성차별
[2018] 일터에서 여성들이 겪는 갑질을 보라_ 젠더갑질 실태조사 결과 발표 토론회 | |
[2020] 똑같은 아나운서인데 왜 여자만 비정규직일까_대전MBC 아나운서 채용성차별에 대한 국가인권위 권고와 의미 | |
[2020] 성차별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토론회 : 그 안에 성폭력을 야기하는 성차별 조직문화가 있다 | |
[2020] 왜 성별이 스펙이 될까? 채용성차별 해소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 | |
[2021] 차별금지법 연속 쟁점 토론회 - 서울시장·부산시장 위력 성폭력 사건 <성희롱과 차별의 구제, 여성노동자의 권리로 정의하기> | |
[2022] [가족구성권 토론회] 숨어있는 차별 : 가족주의와 가족지위차별 | |
04. 비정규직
[2000] 보험모집인, 레미콘 특수고용 실태에 관한 조사보고서 | |
[2003] 학교비정규직 여성노동자 근로실태 및 차별해소 방안 마련 토론회 | |
[2004] 여성 비정규직의 차별실태와 법제도 개선과제 | |
[2005] 특수고용 노동자 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긴급토론회 | |
[2008] 비정규 입법 시행 효과 및 정책적 대응방향: 차별시정 효과를 중심으로 | |
[2013] '투명인간' 여성비정규직 여기에 있다 : 공공부문 여성비정규직 실태조사 결과분석 토론회 | |
[2022] 파리바게뜨 여성노동인권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 | |
[2023] [실태조사 토론회] 꿈꿔왔던 빵이 혐오스러워졌다 : 여성노동자들의 과노동, 과로를 부르는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
05. 돌봄노동
[2006] 비공식부문 돌봄노동의 실태와 대안-가사서비스 노동자를 중심으로- 토론회 | |
[2008] 저소득 가정 아동의 건강한 발달과 경제적 자립촉진을 위한 가정내 아동돌봄서비스 제도 발전 전문가 워크샵 | |
[2008] 보육도우미 파견 사업을 통한 사회적 일자리 지원 사업 효과성 연구 | |
[2009] "증가하는 돌봄 일자리, 은폐되는 성희롱" | |
[2012] 가사간병노동자의 실태와 노동권 보장방안 토론회 | |
[2014] <가사서비스 노동기준을 세우자 : 계약서를 씁시다> | |
[2015] 가사노동자 노동권 보장을 위한 입법방향과 쟁점 토론회 | |
[2016] 2016년 사회서비스 4대바우처 노동실태조사 토론회 | |
[2017] 사회서비스 수가 현실화를 위한 증언대회 및 토론회 | |
[2017] 가사노동자법안 쟁점 토론회 - 가사노동자를 위한 법률, 무엇이 핵심인가? | |
[2021] 국제 가사노동자의 날 기념 정책토론회 - 68년의 배제를 넘어 : 가사노동자 권리보장 의미와 과제 | |
[2023] 이주가사 노동자의 현실과 노동권 보장방안 국회토론회 - 국내이주가사노동자 사례발표와 실태, 홍콩의 시사점 |
06. 일‧생활균형
08. 청년여성노동자
[2010] 20대 여성 대한민국에서 생존을 외치다 Let me in | |
[2018] 전지적 청년시점으로 제안하는 진짜 청년 일자리 대책 토론회 | |
[2021] [대선 기획 청년 정책 토론회 1] 유예된 미래, 빈곤을 만드는 노동 – 90년대생 여성노동자 실태조사 토론회 | |
[2021] [대선 기획 청년 정책 토론회 2] 절망없는 내일, 청년자립을 묻다 – 청년자활참여자 실태조사 토론회 자료집 | |
[2022] [90년대생 여성노동자 실태조사 토론회] 90년대생 여성노동자의 우울 : 차별과 모멸로 구성된 일터 | |
[2022] 90년대생 여성노동자 지역별 실태조사 토론회 |
11. 선거대응 정책제언